동래야류 놀이 과정 > 동래야류 소개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동래야류 소개 HOME

동래야류 놀이 과정

동래야류 춤사위1
  • 동래들놀음은 1870년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937년 중일전쟁이 난 해까지 연희되다가 중단되었던 것을 다시 복원한 것 이다.
  • 동래야류 놀이 과정
  • 동래야류 놀이 과정
  • 동래야류 놀이 과정
  • 동래야류 놀이 과정

본문

동래들놀음은 1870년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937년 중일전쟁이 난 해까지 연희되다가 중단되었던 것을 다시 복원한 것 이다.

세시놀이로서 정월 대보름에 놀았는데 주로 밤에 공연이 벌어졌기 때문에 공연장 주변 에 불을 밝히고 공중에도 등을 달아 대단히 화려하였다.

정월 대보름에 열렸으며 길놀이, 앞놀이로서 덧뵈기 춤판, 탈놀이, 뒷풀이로 이어지는 집단적인 대동놀이적 성격이 강했다. 즉 지역의 거대한 축제의 역할을 했다.



동래 들놀음에서 사용되는 말뚝이 탈은 말뚝이 탈 중 가장 조형미가 뛰어난 대표적인 탈로서 커다란 코와 이빨, 눈, 귀 등이 험상굿게 어울려 강한 인상을 느끼게 한다.

춤은 기본적으로 덧배기 춤이며 말뚝이 어름새, 울러멘 사위, 어깨 흠듬새, 배김새, 직선사위, 구분사위 등이 있다.


1967년 중요 무형 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었다.



▣ 개요

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는 1870년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937년 중일전쟁이 난 해까지 연희되다가 중단되었다. 그 뒤 재연되어 1967년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놀음은 세시민속놀이로 연희되었다.

연희시기는 음력 정월보름에 행해지는데, 준비과정은 야류 탈놀음 계원(契員)들이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동네 각 집을 돌며 ‘지신밟기’를 하여 비용을 마련한다.

음력 정월보름날 동부·서부간의 줄다리기가 끝난 이튿날 밤에 동래 중앙통 광장 패문리(牌門里)에 무대를 가설해놓고 놀았다. 무대는 목재를 사용하여 관중보다 약간 높게 만들고 관중은 삼면에서 볼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악사석은 무대를 향해서 왼쪽에 있다. 무대 뒷면은 개복청으로 흰 포장(布帳)으로 가려져 있다.



이 놀음은 밤에 연희되므로 연희 때는 무대 좌우 적당한 곳에 불을 밝히고 놀음판을 좀 더 화려하게 하기 위하여 제등(提燈)을 공중에 달았다.

연희자들은 가무(歌舞)에 소양이 있는 평민 남자들로, 대개는 일정한 직업이 없었으며 그 가운데 연장자가 지휘한다.


문화재청 부산광역시 동래구청 국립무형유산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재재단 부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