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야류 개요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동래야류 개요 HOME

동래야류 개요

국가무형유산 동래야류
(1967. 12. 21. 지정)

57dc1724dfa55f179f17002d854fd12f_1616563397_8972.JPG
 

동래야류는 한국 가면놀이 중 남부형인 야류·오광대 계열이다. 초계 밤마리에서 대광대패들에 의해 놀았던 탈놀음이 낙동강 동쪽으로 전파되어 신반, 진주, 마산(창원), 수영을 거쳐 동래로 유입되어 동래의 지역성이 진하게 배어있는 도시형 탈놀음이다. 형성시기는 1870년대로 추정되며 이후 일제 말기에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가 광복 이후 기영회 등의 노력으로 복원되면서 1967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연희시기는 음력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는데 준비과정으로 야류 탈놀음 계원(契員)들이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동네 각 집을 돌며 지신밟기를 하여 비용을 마련하였다. 이후 밤에 주로 공연이 펼쳐져 공연장 주변에 불을 밝히고 공중에도 등을 달기에 대단히 화려하였다. 또한 길놀이를 시작으로 앞놀이로서 덧배기 춤판, 탈놀이 그리고 뒷풀이로 이어지는 집단적 성격이 강한 대동놀이로서 지역의 거대한 축제 역할을 하였다.

 

동래야류는 한국 전통 연극양식으로 가무악이 복합된 연희형태이며 서민들이 양반들에 대한 풍자와 비판, 골계적인 재담과 몸짓으로 양반들을 희롱하며 서민들의 애환을 풀어내는 내용이다. 해학성이 진하게 깔려있고 유식한 문장으로 재담을 풀어내어 격조 있는 멋으로 연희를 풀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웅박캥캥 굿거리장단에 덧배기춤과 배김사위가 일품이며, 말뚝이의 탈과 재담은 동래야류의 가장 큰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행과정은 모두 4과장으로서 군무를 시작으로 문둥이과장 - 양반과장 - 영노과장 - 할미·영감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유산청 부산광역시 동래구청 국립무형유산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재재단 부산문화재단